카테고리 없음

아삭아삭 맛있는 초당옥수수

초코쿠키짱 2023. 5. 18. 18:37
728x90
728x170
728x90

 

생태

높이는 1∼3m에 달하며 줄기는 굵고 껍질이 단단하고 속이 차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가 1m 정도에 달하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처지고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자웅이화서()로서 수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며 3개의 수술만 가진 수꽃이 여러개 달린다.

암이삭은 줄기의 중간 마디에 1∼3개 달리며 7∼12장의 껍질에 싸여 있고 속에 암술만 있는 암꽃이 보통 12 · 14 · 16의 짝수 줄로 달린다. 수염은 암술대이며 껍질 밖으로 자라나서 꽃가루를 받는다. 타가수정을 원칙으로 하며 현저한 잡종강세를 나타낸다. 화서축()은 길이 20∼30㎝로 자라서 굵어지며 많은 영과()가 달린다.

영과는 편구형이고 밑부분이 짧게 뾰족해지며 지름 6㎜ 정도로 보통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뿌리는 1개인데 근계는 잘 발달하며, 땅가에 가까운 줄기의 두세 마디에서 굵은 측근이 발생한다. 우리 나라에는 중국에서 전파되었는데, 고려시대 원나라에서 전달되었다는 설과 조선시대 명나라에서 전달되었다는 설이 있다.

4월 상순부터 5월 상순에 걸쳐서 파종하며, 이랑너비 60㎝, 포기 사이 30㎝ 정도로 두세 알씩 점뿌림하고 싹튼 뒤에 솎아서 1대씩 세운다. 10a에 소요되는 씨앗의 분량은 대립종 8, 9l, 중립종 5∼7l, 소립종 4, 5l이다.

비료는 10a당 퇴비 1,000㎏, 질소 10∼15㎏, 인산 5∼7㎏, 칼리 7, 8㎏, 소석회 10㎏ 정도를 준다. 질소는 3등분하여 파종할 때, 파종 25∼30일 뒤, 그뒤 약 20일 뒤쯤으로 나누어 주는 것이 좋다.

싹튼 다음부터 2회 정도의 솎기, 2, 3회의 김매기와 북주기를 하며 살충제를 뿌려서 충해를 막아 준다. 쪄먹을 것은 암이삭의 껍질이 아직 푸르고 씨알이 굳어지기 전인 7월 하순경부터 수확하나 곡식 · 사료로 할 것은 껍질이 황변하고 씨알이 굳어져서 성숙한 뒤인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에 수확한다. 품종은 씨알의 모양과 성질에 따라서 8종류로 분류된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것은 마치종()으로서 씨알이 크고 끝이 말 이빨처럼 움푹 패었는데 소출은 많으나 대부분 연질부로 되어서 식용에 알맞지 않다. 경립종()은 씨알이 굵직하고 대부분 각질부()로 되어서 식용에 알맞다. 폭렬종()은 씨알이 잘고 각질이 많으며 튀겨 먹기에 알맞다. 감미종()은 당분이 많고 연해서 간식용으로 좋다. 연립종()은 연질녹말로 되어 있어 식용으로 좋지 못하다.

연감종()은 연립종과 감미종의 중간성질이다. 나종()은 녹말이 거의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되어 있어 찰옥수수라고도 하는데, 간식용으로 좋다. 유부종()은 씨알의 하나하나가 껍질에 싸여 있는 원시형이다. 또, 옥수수는 잡종강세가 현저해서 1대 잡종의 품종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현황

우리 나라의 우수한 1대 잡종 마치품종으로는 황옥23호, 수원19 · 20 · 21 · 29호 등이 있으며, 감미종으로는 골드크로스반탐이 많이 재배된다. 생산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1988년의 경우 10만 5859t에 달하였다. 옥수수는 산간지방에서는 주식이 되기도 하고, 평지에서는 간식으로 이용된다.

특히, 생산량이 많은 강원도의 경우에는 강냉이밥 · 강냉이수제비 · 강냉이범벅과 같은 주식 뿐 아니라 옥수수설기 · 옥수수보리개떡과 같은 별식 등 옥수수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발달되어 있다. 특히, 옥수수로 만든 올챙이묵은 강원도의 향토음식으로 유명하다.

이 밖에 제분을 해서 빵 · 과자 · 물엿 · 술을 만들며 녹말로는 포도당 · 주정 · 방직용풀 등을 만든다. 기름을 짜서 쓰기도 하고 마가린을 만들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마른 암술대를 이뇨제로 사용한다.

 

1. 기본정보

· 구입요령 : 껍질은 선명한 녹색이고 알맹이가 촘촘하며 수염이 갈색인 것을 고른다.
· 유사재료 : 단옥수수 (단옥수수는 옥수수를 가공한 것으로 옥수수 하나하나를 분리하여 식염과 당분을 첨가한 통조림을 말한다.)
· 보관온도 : -20℃~0℃
· 보관일 : 7일
· 보관법 : 껍질을 벗긴 후 삶고 한번 먹을 양만큼 팩에 넣어서 냉동실에 보관해두면 훨씬 찰진 옥수수를 먹을 수 있다.
· 손질법 : 껍질은 조리 직전에 벗기는 것이 좋고 배아 부분에 영양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알맹이를 뺄 때는 칼로 하지 말고, 손으로 빼면 손실이 적다.
·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남미 안데스산맥 일대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산간 지대에서 주로 많이 재배된다.

2. 섭취정보

· 섭취방법 : 쪄서 간식으로 이용하거나 건조시켜 가루로 내어 빵, 과자, 죽 등에 이용한다.
· 궁합음식정보 : 우유 (우유는 옥수수의 낮은 단백가를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우수한 식품으로 옥수수로 만든 콘플레이크를 우유에 타서 먹거나, 빵을 만들 때 옥수숫가루와 우유를 혼합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다.)
· 다이어트 : 지방 함량이 적고 식이섬유소가 많아 다이어트 음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비타민과 무기질,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하므로 옥수수만 먹는 원푸드 다이어트는 바람직하지 않다.
· 효능 : 변비 예방 (식이 섬유소가 풍부하여 변비에 효과적이다.)

728x90
그리드형